[ko] Update outdated files dev-1.24-ko.2 (M80-M83)
parent
3972dce875
commit
dc91547cbf
|
@ -27,7 +27,7 @@ CPU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지정한다.
|
|||
|
||||
클러스터에 네임스페이스를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있어야 한다.
|
||||
|
||||
태스크 예제를 실행하려면 클러스터에 적어도 1.0 CPU 이상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
|
||||
클러스터의 각 노드는 파드 실행을 위해 적어도 1.0 CPU 이상이 사용 가능해야 한다.
|
||||
쿠버네티스에서 “1 CPU”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알아보려면
|
||||
[CPU의 의미](/ko/docs/concepts/configuration/manage-resources-containers/#cpu의-의미)를 참조한다.
|
||||
|
||||
|
@ -45,7 +45,7 @@ kubectl create namespace constraints-cpu-example
|
|||
|
||||
## 리밋레인지와 파드 생성
|
||||
|
||||
다음은 리밋레인지에 대한 예시 매니페스트이다.
|
||||
다음은 {{< glossary_tooltip text="리밋레인지" term_id="limitrange" >}} 예제 매니페스트이다.
|
||||
|
||||
{{< codenew file="admin/resource/cpu-constraints.yaml" >}}
|
||||
|
||||
|
@ -95,7 +95,7 @@ limits:
|
|||
{{< /note >}}
|
||||
|
||||
다음은 컨테이너가 하나인 파드의 매니페스트이다. 컨테이너 매니페스트는
|
||||
500 millicpu의 CPU 요청량 및 800 millicpu의 CPU 상한을 지정하고 있다. 이는 리밋레인지에
|
||||
500 millicpu의 CPU 요청량 및 800 millicpu의 CPU 상한을 지정하고 있다. 이는 이 네임스페이스의 리밋레인지에
|
||||
의해 부과된 CPU의 최소와 최대 제약 조건을 충족시킨다.
|
||||
|
||||
{{< codenew file="admin/resource/cpu-constraints-pod.yaml" >}}
|
||||
|
@ -214,7 +214,10 @@ resources:
|
|||
[CPU 요청량과 상한의 기본값](/ko/docs/tasks/administer-cluster/manage-resources/cpu-default-namespace/)을
|
||||
적용했다.
|
||||
|
||||
이 시점에서, 파드는 실행 중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태스크의 전제 조건은 클러스터에 1 CPU 이상 사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노드에 1 CPU만 있는 경우, 노드에 할당할 수 있는 CPU가 800 millicpu의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2 CPU인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PU가 800 millicpu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
||||
이 시점에서, 파드는 실행 중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 이 태스크의 전제 조건은
|
||||
노드에 1 CPU 이상 사용 가능해야 한다는 것이다. 각 노드에 1 CPU만 있는 경우,
|
||||
노드에 할당할 수 있는 CPU가 800 millicpu의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
||||
2 CPU인 노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CPU가 800 millicpu 요청량을 수용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
||||
|
||||
파드를 삭제한다.
|
||||
|
||||
|
|
|
@ -140,7 +140,8 @@ resources:
|
|||
kubectl apply -f https://k8s.io/examples/admin/resource/cpu-defaults-pod-3.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
||||
```
|
||||
|
||||
생성한 파드의 명세를 확인한다.
|
||||
생성한 파드의
|
||||
[명세](/ko/docs/concepts/overview/working-with-objects/kubernetes-objects/#오브젝트-명세-spec-와-상태-status)를 확인한다.
|
||||
|
||||
```
|
||||
kubectl get pod default-cpu-demo-3 --output=yaml --namespace=default-cpu-example
|
||||
|
|
|
@ -10,8 +10,9 @@ description: >-
|
|||
|
||||
<!-- overview -->
|
||||
|
||||
이 페이지는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되는 컨테이너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
||||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리밋레인지(LimitRange)](/docs/reference/generated/kubernetes-api/{{< param "version" >}}/#limitrange-v1-core)
|
||||
이 페이지는 {{< glossary_tooltip text="네임스페이스" term_id="namespace" >}}에서
|
||||
실행되는 컨테이너가 사용하는 메모리의 최솟값과 최댓값을 설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
||||
[리밋레인지(LimitRange)](/docs/reference/kubernetes-api/policy-resources/limit-range-v1/)
|
||||
오브젝트에 최소 및 최대 메모리 값을
|
||||
지정한다. 파드가 리밋레인지에 의해 부과된 제약 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면,
|
||||
네임스페이스에서 생성될 수 없다.
|
||||
|
@ -77,7 +78,7 @@ kubectl get limitrange mem-min-max-demo-lr --namespace=constraints-mem-example -
|
|||
쿠버네티스는 다음 단계를 수행한다.
|
||||
|
||||
* 해당 파드의 어떤 컨테이너도 자체 메모리 요청량(request)과 상한(limit)을 명시하지 않으면,
|
||||
해당 컨테이너에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의 기본값(default)을 지정한다.
|
||||
컨트롤 플레인이 해당 컨테이너에 메모리 요청량과 상한의 기본값(default)을 지정한다.
|
||||
|
||||
* 해당 파드의 모든 컨테이너의 메모리 요청량이 최소 500 MiB 이상인지 확인한다.
|
||||
|
||||
|
|
|
@ -172,7 +172,7 @@ resources:
|
|||
네임스페이스에 {{< glossary_tooltip text="리소스 쿼터" term_id="resource-quota" >}}가
|
||||
설정되어 있는 경우,
|
||||
메모리 상한에 기본값을 설정하는 것이 좋다.
|
||||
다음은 리소스 쿼터가 네임스페이스에 적용하는 두 가지 제한 사항이다.
|
||||
다음은 리소스 쿼터가 네임스페이스에 적용하는 세 가지 제한 사항이다.
|
||||
|
||||
* 네임스페이스에서 실행되는 모든 파드에 대해, 모든 컨테이너에 메모리 상한이 있어야 한다.
|
||||
(파드의 모든 컨테이너에 대해 메모리 상한을 지정하면,
|
||||
|
|
Loading…
Reference in New Iss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