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lect review comments

pull/29029/head
Jihoon Seo 2021-08-02 15:00:07 +09:00
parent cbc3d89fef
commit 9a311f4c3a
1 changed files with 15 additions and 15 deletions

View File

@ -61,7 +61,7 @@ Kubelet은 다음과 같은 축출 신호를 사용한다.
이 표에서, `설명` 열은 kubelet이 축출 신호 값을 계산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각 축출 신호는 백분율 또는 숫자값을 지원한다.
kubelet은 총 용량 대비 축출 신호의 백분율 값을
Kubelet은 총 용량 대비 축출 신호의 백분율 값을
계산한다.
`memory.available` 값은 `free -m`과 같은 도구가 아니라 cgroupfs로부터 도출된다.
@ -69,7 +69,7 @@ kubelet은 총 용량 대비 축출 신호의 백분율 값을
[node allocatable](/docs/tasks/administer-cluster/reserve-compute-resources/#node-allocatable)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자원 부족에 대한 결정은 루트 노드뿐만 아니라
cgroup 계층 구조의 최종 사용자 파드 부분에서도 지역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중요하다.
[스크립트](/examples/admin/resource/memory-available.sh)는
[스크립트](/examples/admin/resource/memory-available.sh)는
kubelet이 `memory.available`을 계산하기 위해 수행하는 동일한 단계들을 재현한다.
kubelet은 메모리 압박 상황에서 메모리가 회수 가능하다고 가정하므로,
inactive_file(즉, 비활성 LRU 목록의 파일 기반 메모리 바이트 수)을
@ -164,9 +164,9 @@ kubelet은 다음과 같이 노드 컨디션과 축출 신호를 매핑한다.
| 노드 컨디션 | 축출 신호 | 설명 |
|-------------------|---------------------------------------------------------------------------------------|------------------------------------------------------------------------------------------------------------------------------|
| `MemoryPressure` | `memory.available` | 노드의 가용 메모리 양이 축출 임계값에 도달했다 |
| `DiskPressure` | `nodefs.available`, `nodefs.inodesFree`, `imagefs.available`, or `imagefs.inodesFree` | 노드의 루트 파일시스템 또는 이미지 파일시스템의 가용 디스크 공간 또는 inode의 수가 축출 임계값에 도달했다 |
| `PIDPressure` | `pid.available` | (리눅스) 노드의 가용 프로세스 ID(PID)가 축출 임계값 이하로 내려왔다 |
| `MemoryPressure` | `memory.available` | 노드의 가용 메모리 양이 축출 임계값에 도달 |
| `DiskPressure` | `nodefs.available`, `nodefs.inodesFree`, `imagefs.available`, 또는 `imagefs.inodesFree` | 노드의 루트 파일시스템 또는 이미지 파일시스템의 가용 디스크 공간 또는 inode의 수가 축출 임계값에 도달 |
| `PIDPressure` | `pid.available` | (리눅스) 노드의 가용 프로세스 ID(PID)가 축출 임계값 이하로 내려 |
kubelet은 `--node-status-update-frequency`에 설정된
시간 간격(기본값: `10s`)마다 노드 컨디션을 업데이트한다.
@ -203,8 +203,8 @@ kubelet은 다음 작업을 수행한다.
노드에 `nodefs` 파일시스템만 있고 이것이 축출 임계값 조건을 충족한 경우,
kubelet은 다음 순서로 디스크 공간을 확보한다.
1. 종료된 파드와 컨테이너에 대해 가비지 수집을 수행한다
1. 사용중이지 않은 이미지를 삭제한다
1. 종료된 파드와 컨테이너에 대해 가비지 수집을 수행한다.
1. 사용중이지 않은 이미지를 삭제한다.
### kubelet 축출을 위한 파드 선택
@ -229,7 +229,7 @@ kubelet은 파드 축출 순서를 결정하기 위해 다음의 파라미터를
kubelet이 파드 축출 순서를 결정할 때 파드의 QoS 클래스는 이용하지 않는다.
메모리 등의 자원을 회수할 때, QoS 클래스를 이용하여 가장 가능성이 높은 파드 축출 순서를 예측할 수는 있다.
QoS는 EphemeralStorage 요청에 적용되지 않으므로,
노드가 예를 들어 'DiskPressure' 아래에 있는 경우 위의 시나리오가 적용되지 않는다.
노드가 예를 들어 `DiskPressure` 아래에 있는 경우 위의 시나리오가 적용되지 않는다.
{{</note>}}
`Guaranteed` 파드는 모든 컨테이너에 대해 자원 요청량과 제한이 명시되고
@ -246,7 +246,7 @@ kubelet은 노드 안정성을 유지하고 자원 고갈이 다른 파드에
또는 `PID` 고갈 때문에 파드를 축출할 때에는 파드의 `Priority`를 이용하여 축출
순위를 정한다.
노드에 전용 'imagefs' 파일 시스템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kubelet이 파드 축출 순서를
노드에 전용 `imagefs` 파일시스템이 있는지 여부에 따라 kubelet이 파드 축출 순서를
정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다.
#### `imagefs`가 있는 경우
@ -306,14 +306,14 @@ kubelet의 메모리 회수가 가능하기 이전에
kubelet은 각 파드에 설정된 QoS를 기반으로 각 컨테이너에 `oom_score_adj` 값을 설정한다.
| Quality of Service | oom_score_adj |
| 서비스 품질(Quality of Service) | oom_score_adj |
|--------------------|-----------------------------------------------------------------------------------|
| `Guaranteed` | -997 |
| `BestEffort` | 1000 |
| `Burstable` | min(max(2, 1000 - (1000 * memoryRequestBytes) / machineMemoryCapacityBytes), 999) |
{{<note>}}
또한, kubelet은 `system-node-critical` {{<glossary_tooltip text="Priority" term_id="pod-priority">}}를 갖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또한, kubelet은 `system-node-critical` {{<glossary_tooltip text="파드 우선 순위(Priority)" term_id="pod-priority">}}를 갖는 파드의 컨테이너에
`oom_score_adj` 값을 `-997`로 설정한다.
{{</note>}}
@ -372,7 +372,7 @@ kubelet이 `DaemonSet`에 속하는 파드를 축출하지 않도록 하려면
#### kubelet이 메모리 압박을 즉시 감지하지 못할 수 있음
기본적으로 kubelet은 'cAdvisor'를 폴링하여
기본적으로 kubelet은 `cAdvisor`를 폴링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메모리 사용량 통계를 수집한다.
해당 타임 윈도우 내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빠르게 증가하면 kubelet이
`MemoryPressure`를 충분히 빠르게 감지하지 못해 `OOMKiller`가 계속 호출될 수 있다.
@ -381,7 +381,7 @@ kubelet이 `DaemonSet`에 속하는 파드를 축출하지 않도록 하려면
kubelet의 `memcg` 알림 API가 임계값을 초과할 때 즉시 알림을 받도록
할 수 있다.
극도의 활용도를 달성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버커밋에 대한 합리적인 조치를 원하는 경우,
사용률(utilization)을 극단적으로 높이려는 것이 아니라 오버커밋(overcommit)에 대한 합리적인 조치만 원하는 경우,
이 문제에 대한 현실적인 해결 방법은 `--kube-reserved`
`--system-reserved` 플래그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메모리를 할당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