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rge pull request #51845 from developowl/ko_Translate_hello_minikube

[ko] Fix Hello minikube tutorial
pull/51995/head
Kubernetes Prow Robot 2025-08-22 00:07:07 -07:00 committed by GitHub
commit 38fe295942
No known key found for this signature in database
GPG Key ID: B5690EEEBB952194
1 changed files with 112 additions and 55 deletions

View File

@ -9,14 +9,8 @@ card:
<!-- overview -->
이 튜토리얼에서는 Minikube와 Katacoda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에서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살펴본다.
Katacode는 무료로 브라우저에서 쿠버네티스 환경을 제공한다.
{{< note >}}
로컬에서 Minikube를 설치했다면 이 튜토리얼도 따라 할 수 있다.
설치 안내는 [minikube 시작](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을 참고한다.
{{< /note >}}
이 튜토리얼에서는 Minikube를 이용하여 쿠버네티스에서 샘플 애플리케이션을 어떻게 실행하는지 살펴본다.
이 튜토리얼은 NGINX를 통해 모든 요청을 그대로 되돌려 주는 (echo back) 컨테이너 이미지를 제공한다.
## {{% heading "objectives" %}}
@ -27,67 +21,83 @@ Katacode는 무료로 브라우저에서 쿠버네티스 환경을 제공한다.
## {{% heading "prerequisites" %}}
이 튜토리얼은 NGINX를 사용해서 모든 요청에 응답하는 컨테이너 이미지를 제공한다.
이 튜토리얼은 이미 `minikube`가 이미 구축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설치 방법은 [minikube 시작](https://minikube.sigs.k8s.io/docs/start/)의 __Step 1, Installation__ 을 참고한다.
{{< note >}}
**Step 1, Installation**의 지침만 실행한다. 나머지 내용은 이 페이지에서 다룬다.
{{< /note >}}
또한, `kubectl` 을 설치해야 한다.
설치 방법은 [도구 설치](/ko/docs/tasks/tools/)를 참고한다.
<!-- lessoncontent -->
## minikube 클러스터 만들기
1. **Launch Terminal** 을 클릭
{{< kat-button >}}
{{< note >}}
minikube를 로컬에 설치했다면 `minikube start`를 실행한다. `minikube dashboard` 명령을 실행하기 전에, 새 터미널을 열고, 그 터미널에서 `minikube dashboard` 명령을 실행한 후, 원래의 터미널로 돌아온다.
{{< /note >}}
2. 브라우저에서 쿠버네티스 대시보드를 열어보자.
```shell
minikube dashboard
```
3. Katacoda 환경에서는: 터미널 패널의 상단에서 플러스를 클릭하고, 이어서 **Select port to view on Host 1** 을 클릭
4. Katacoda 환경에서는: 30000 을 입력하고 **Display Port** 를 클릭.
{{< note >}}
`minikube dashboard` 명령을 내리면 대시보드 애드온과 프록시가 활성화되고 해당 프록시로 접속하는 기본 웹 브라우저 창이 열린다.
대시보드에서 디플로이먼트나 서비스와 같은 쿠버네티스 자원을 생성할 수 있다.
root 환경에서 명령어를 실행하고 있다면, [URL을 이용하여 대시보드 접속하기](#open-dashboard-with-url)를 참고한다.
기본적으로 대시보드는 쿠버네티스 내부 가상 네트워크 안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dashboard` 명령은 쿠버네티스 가상 네트워크 외부에서 대시보드에 접근할 수 있도록 임시 프록시를 만든다.
`Ctrl+C` 를 눌러 프록시를 종료할 수 있다. 대시보드는 종료되지 않고 실행 상태로 남아 있다.
명령이 종료된 후 대시보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계속 실행된다.
`dashboard` 명령을 다시 실행하여 대시보드에 접근하기 위한 다른 프록시를 생성할 수 있다.
{{< /note >}}
## URL을 이용하여 대시보드 접속하기 {#open-dashboard-with-url}
자동으로 웹 브라우저가 열리는 것을 원치 않는다면, `--url` 플래그와 함께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실행하여 대시보드 접속 URL을 출력할 수 있다.
```shell
minikube start
```
## 대시보드 접속하기
쿠버네티스 대시보드를 여는 방법은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tabs name="dashboard" >}}
{{% tab name="브라우저 구동" %}}
**새**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shell
# 새 터미널에서 시작하고, 해당 터미널은 실행 상태로 두어야 함.
minikube dashboard
```
이제 `minikube start`를 실행했던 터미널로 다시 전환한다.
{{< note >}}
`dashboard` 명령어는 대시보드 애드온을 활성화하고 기본 웹 브라우저에서 프록시를 연다.
대시보드에서 디플로이먼트(Deployment), 서비스와 같은 쿠버네티스 리소스를 생성할 수 있다.
브라우저를 터미널에서 직접 호출하지 않고 웹 대시보드에 접속하기 위한 URL을 얻는 방법을 알아보려면, "URL 복사 및 붙여넣기" 탭을 참고한다.
기본적으로 대시보드는 쿠버네티스 내부 가상 네트워크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다.
`dashboard` 명령어는 대시보드가 쿠버네티스 가상 네트워크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임시 프록시를 생성한다.
프록시를 중지하려면 `Ctrl+C`를 실행하여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명령이 종료된 후에도 대시보드는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에서 계속 실행된다.
대시보드에 접근하기 위한 또 다른 프록시를 생성하려면 `dashboard` 명령어를 다시 실행하면 된다.
{{< /note >}}
{{% /tab %}}
{{% tab name="URL 복사 및 붙여넣기" %}}
minikube가 자동으로 웹 브라우저를 열지 않게 하려면, `dashboard` 서브커맨드를
`--url` 플래그와 함께 실행한다. `minikube`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브라우저를 사용할 수 있도록 URL을 출력한다.
**새** 터미널을 열고 다음 명령어를 실행한다.
```Shell
# 새 터미널에서 시작하고, 해당 터미널은 실행 상태로 두어야 함.
minikube dashboard --url
```
이제 이 URL을 사용하여 `minikube start`를 실행했던 터미널로 다시 전환할 수 있다.
{{% /tab %}}
{{< /tabs >}}
## 디플로이먼트 만들기
쿠버네티스 [*파드*](/ko/docs/concepts/workloads/pods/)는 관리와
네트워킹 목적으로 함께 묶여 있는 하나 이상의 컨테이너 그룹이다.
이 튜토리얼의 파드에는 단 하나의 컨테이너만 있다. 쿠버네티스
[*디플로이먼트*](/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deployment/)는 파드의
헬스를 검사해서 파드의 컨테이너가 종료되었다면 재시작해준다.
상태를 확인하고, 파드의 컨테이너가 종료되었다면 재시작한다.
파드의 생성 및 스케일링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디플로이먼트를 권장한다.
1. `kubectl create` 명령어를 실행하여 파드를 관리할 디플로이먼트를 만든다. 이
파드는 제공된 Docker 이미지를 기반으로 한 컨테이너를 실행한다.
```shell
# 테스트용 웹 서버 컨테이너 이미지를 실행한다.
kubectl create deployment hello-node --image=registry.k8s.io/e2e-test-images/agnhost:2.39 -- /agnhost netexec --http-port=8080
```
@ -104,6 +114,8 @@ minikube dashboard --url
hello-node 1/1 1 1 1m
```
(파드가 준비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0/1"이 표시되면 몇 초 후에 다시 시도해본다.)
3. 파드 보기
```shell
@ -129,8 +141,26 @@ minikube dashboard --url
kubectl config view
```
6. 파드 내 컨테이너의 애플리케이션 로그를 확인한다. (파드 이름을 `kubectl get pods` 명령어로 얻은 이름으로 교체한다)
{{< note >}}
아래 `kubectl logs` 명령어에서 `hello-node-5f76cf6ccf-br9b5` 부분을 `kubectl get pods` 명령어 출력에서 얻은 파드 이름으로 교체한다.
{{< /note >}}
```shell
kubectl logs hello-node-5f76cf6ccf-br9b5
```
출력은 다음과 유사하다.
```
I0911 09:19:26.677397 1 log.go:195] Started HTTP server on port 8080
I0911 09:19:26.677586 1 log.go:195] Started UDP server on port 8081
```
{{< note >}}
`kubectl` 명령어에 관해 자세히 알기 원하면 [kubectl 개요](/ko/docs/reference/kubectl/)을 살펴보자.
`kubectl` 명령어에 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kubectl 개요](/ko/docs/reference/kubectl/)을 살펴본다.
{{< /note >}}
## 서비스 만들기
@ -140,6 +170,12 @@ minikube dashboard --url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파드를 쿠버네티스
[*서비스*](/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로 노출해야 한다.
{{< warning >}}
agnhost 컨테이너에는 디버깅에 유용한 `/shell` 엔드포인트가 있지만, 이는
공용 인터넷에 노출하기에 위험하다. 이 컨테이너를 인터넷에 연결된 클러스터나
프로덕션 클러스터에서 실행하지 않는다.
{{< /warning >}}
1. `kubectl expose` 명령어로 퍼블릭 인터넷에 파드 노출하기
```shell
@ -177,11 +213,7 @@ minikube dashboard --url
minikube service hello-node
```
4. Katacoda 환경에서만: 플러스를 클릭한 후에 **Select port to view on Host 1** 를 클릭.
5. Katacoda 환경에서만: 서비스 출력에서 `8080`의 반대편에 표시되는 5자리 포트 번호를 기록 한다. 이 포트 번호는 무작위로 생성되며, 사용자마다 다를 수 있다. 포트 번호 텍스트 상자에 포트 번호를 입력한 다음, 포트 표시를 클릭한다. 이전 예시를 사용해서 `30369` 를 입력한다.
이렇게 하면 당신의 앱을 서비스하는 브라우저 윈도우를 띄우고 애플리케이션의 응답을 볼 수 있다.
이 명령은 브라우저 창을 열어 앱을 보여주고, 그 응답을 표시한다.
## 애드온 사용하기
@ -256,7 +288,26 @@ minikube 툴은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할 수 있고 로컬 쿠버네
service/monitoring-influxdb ClusterIP 10.111.169.94 <none> 8083/TCP,8086/TCP 26s
```
4. `metrics-server` 비활성화
4. `metrics-server`의 출력 결과를 확인한다.
```shell
kubectl top pods
```
다음과 유사하게 출력된다.
```
NAME CPU(cores) MEMORY(bytes)
hello-node-ccf4b9788-4jn97 1m 6Mi
```
만약 다음의 메시지가 보인다면,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시도한다.
```
error: Metrics API not available
```
5. `metrics-server`를 비활성화한다.
```shell
minikube addons disable metrics-server
@ -277,7 +328,7 @@ kubectl delete service hello-node
kubectl delete deployment hello-node
```
필요하면 Minikube 가상 머신(VM)을 정지한다.
Minikube 클러스터를 종료한다.
```shell
minikube stop
@ -286,15 +337,21 @@ minikube stop
필요하면 minikube VM을 삭제한다.
```shell
# 선택사항
minikube delete
```
쿠버네티스를 더 배우기 위해 minikube를 다시 사용할 계획이라면, 굳이 삭제하지 않아도 된다.
## 결론
이 페이지에서는 minikube 클러스터를 실행하고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기 위한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이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할 준비가 되었다.
## {{% heading "whatsnext" %}}
* _[kubectl을 사용해 쿠버네티스에 첫 번째 애플리케이션 배포하기](/ko/docs/tutorials/kubernetes-basics/deploy-app/deploy-intro/)_ 에 대한 튜토리얼.
* [디플로이먼트 오브젝트](/ko/docs/concepts/workloads/controllers/deployment/)에 대해서 더 배워 본다.
* [애플리케이션 배포](/ko/docs/tasks/run-application/run-stateless-application-deployment/)에 대해서 더 배워 본다.
* [서비스 오브젝트](/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에 대해서 더 배워 본다.
* [서비스 오브젝트](/ko/docs/concepts/services-networking/service)에 대해서 더 배워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