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7 lines
3.1 KiB
Markdown
97 lines
3.1 KiB
Markdown
|
---
|
||
|
title: 쿠버네티스 문서 한글화 가이드
|
||
|
content_template: templates/concept
|
||
|
---
|
||
|
|
||
|
{{% capture overview %}}
|
||
|
|
||
|
쿠버네티스 문서 한글화를 위한 가이드
|
||
|
|
||
|
{{% /capture %}}
|
||
|
|
||
|
|
||
|
{{% capture body %}}
|
||
|
|
||
|
## 문체
|
||
|
|
||
|
### 높임말
|
||
|
|
||
|
평어체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일부 페이지(예: [https://kubernetes.io/ko](https://kubernetes.io/ko))에 한해 예외적으로
|
||
|
높임말을 사용한다.
|
||
|
|
||
|
### 번역체 지양
|
||
|
|
||
|
우리글로서 자연스럽고 무리가 없도록 번역한다.
|
||
|
|
||
|
번역체 | 자연스러운 문장
|
||
|
--- | ---
|
||
|
-되어지다 (이중 피동 표현) | -되다
|
||
|
짧은 다리를 가진 돼지 | 다리가 짧은 돼지
|
||
|
그는 그의 손으로 숟가락을 들어 그의 밥을 먹었다 | 그는 손으로 숟가락을 들어 밥을 먹었다
|
||
|
접시를 씻고 | 설거지를 하고
|
||
|
가게에 배들, 사과들, 복숭아들이 있다 (과다한 복수형) | 가게에 배, 사과, 복숭아들이 있다
|
||
|
|
||
|
## 문서 코딩 가이드
|
||
|
|
||
|
### 가로폭은 원문을 따름
|
||
|
|
||
|
유지보수의 편의를 위해서 원문의 가로폭을 따른다.
|
||
|
|
||
|
즉, 원문이 한 문단을 줄바꿈하지 않고 한 행에 길게 기술했다면 한글화 시에도 한 행에 길게 기술하고, 원문이 한 문단을
|
||
|
줄바꿈해서 여러 행으로 기술한 경우에는 한글화 시에도 가로폭을 원문과 비슷하게 유지한다.
|
||
|
|
||
|
### 리뷰어 삭제
|
||
|
|
||
|
일반적으로 원문 페이지의 리뷰어가 한글 페이지를 리뷰하기 어려우므로 다음과 같이 리소스 메타데이터에서 리뷰어를
|
||
|
삭제한다.
|
||
|
|
||
|
```diff
|
||
|
---
|
||
|
- reviews:
|
||
|
- - reviewer1
|
||
|
- - reviewer2
|
||
|
- title: Kubernetes Components
|
||
|
+ title: 쿠버네티스 컴포넌트
|
||
|
content_template: templates/concept
|
||
|
weight: 10
|
||
|
---
|
||
|
```
|
||
|
|
||
|
## 용어
|
||
|
|
||
|
용어 선택은 다음의 우선 순위를 따르나, 자연스럽지 않은 용어를 무리하게 선택하지는 않는다.
|
||
|
|
||
|
|
||
|
* 한글 단어
|
||
|
* 순 우리말 단어
|
||
|
* 한자어 (예: 운영 체제), 외래어 (예: 쿠버네티스, 파드)
|
||
|
* 한영 병기 (예: 훅(hook))
|
||
|
* 영어 단어 (예: Kubelet)
|
||
|
|
||
|
단, 자연스러움을 판단하는 기준은 주관적이므로 문서 한글화팀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
||
|
[한글화팀 용어집](https://goo.gl/BDNeJ1)과 기존에 번역된 문서를 참고한다.
|
||
|
|
||
|
{{% note %}}
|
||
|
API 오브젝트는 원 단어를
|
||
|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법](http://www.korean.go.kr/front/page/pageView.do?page_id=P000104&mn_id=97)에
|
||
|
따라 한글화 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
|
|
||
|
원 단어 | 외래어
|
||
|
--- | ---
|
||
|
Deployment | 디플로이먼트
|
||
|
Pod | 파드
|
||
|
Service | 서비스
|
||
|
{{% /note %}}
|
||
|
|
||
|
{{% note %}}
|
||
|
API 오브젝트의 필드 이름, 파일 이름, 경로 이름과 같은 내용은 주로 코드 스타일로 기술된다. 이는 독자가 구성 파일이나
|
||
|
커맨드라인에서 그대로 사용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한글로 옮기지 않고 원문을 유지한다. 단, 주석은 한글로 옮길 수 있다.
|
||
|
{{% /note %}}
|
||
|
|
||
|
{{% note %}}
|
||
|
한영 병기는 페이지 내에서 해당 용어가 처음 사용되는 경우에만 적용하고 이후 부터는 한글만 표기한다.
|
||
|
{{% /note %}}
|
||
|
|
||
|
{{% /capture %}}
|
||
|
|